• 북마크

주요사업 소식

[생태 현장 소식] 제주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종, 우리 생태계의 균형을 위협하다

관리자
2025.09.18 17:24 129 0
  • - 첨부파일 : 환삼덩굴.jpg (4.6M) - 다운로드
  • - 첨부파일 : 서양금혼초.JPG (3.8M) - 다운로드

본문

위 환삼덩굴 / 아래 서양금혼초 [사진출처 : 한국생태연구소]

  한국생태연구소(대표 남궁 형)는 최근 제주 지역 생태조사 과정에서 생태계교란종인 ▲환삼덩굴(Humulus scandens)과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를 확인했다. 이번 발견은 단순한 식물 기록을 넘어, 우리 생태계 건강성을 위협하는 잠재적 위험 신호로 주목받고 있다.

○ 생태계교란종이란?
  생태계교란종은 외래종 중에서도 번식력과 확산력이 매우 강해 토착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거나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리는 종을 뜻한다.
즉, 단순히 외래종이라는 이유만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생태계를 지배하거나 파괴할 정도로 우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종이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 2024. 2. 17.] [법률 제19661호, 2023. 8. 16., 일부개정]’에 따라 특정 생물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관리하고 있으며, 발견 즉시 관리·제거 활동이 요구된다.

○ 생태계교란종의 문제점과 역할
생태계교란종은 단순히 “외래종”을 넘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1. 토착종의 서식지 잠식 : 빠른 번식으로 기존에 살던 식물·동물의 터전을 빼앗는다.
2. 생물다양성 감소 : 교란종이 우세해지면 종 구성이 단순해지고, 이는 생태계 회복력을 떨어뜨린다.
3. 생태계 기능 저해 : 토양 안정화, 수질 정화, 먹이망 유지 등 본래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약화된다.
4. 경제적·사회적 피해 : 농작물 감소, 산림 자원 손실, 경관 훼손 등으로 지역 경제와 생활환경에 직접적    손실을 준다.

○ 교란종 제거의 필요성
생태계교란종 제거는 단순한 제초 작업이 아니다.
1. 고유 생물 보전 : 토착 식물과 동물의 서식 공간을 회복시켜 원래의 생태계 균형을 되찾는다.
2. 생물다양성 회복 : 다양한 종이 어울려 살아가는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한다.
3. 생태계 서비스 유지 : 숲과 하천, 초지 등이 본래 기능을 되찾아 인간에게도 이익이 돌아간다.
4. 지속가능한 미래 : 지금의 관리와 제거가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자연을 물려주는 기반이 된다.

○ 한국생태연구소의 역할
  한국생태연구소는 생태계교란종을 단순히 “외래 잡초”로 보지 않는다. 이는 곧 우리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사전 경보 시스템이다. 연구소는 생태계교란종의 분포 현황을 정밀 조사하고, 확산 경로를 파악해 예방적 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현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와 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지원한다.

연구소 관계자는 “생태계교란종 조사는 단순한 식생 조사 차원을 넘어, 미래의 생태계 보전 전략을 준비하는 작업”이라며 “작은 발견이 큰 보전으로 이어지도록 앞으로도 책임 있는 조사와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참고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_https://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GnrlList.do]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환삼덩굴은 일명 ‘덩굴잡초’로 불리며,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다. 줄기가 길게 뻗으며 주변 식물을 감싸고 올라타 햇빛을 차단한다. 이 과정에서 토착 식물들은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생육이 크게 저해된다. 제주 지역에서는 산림 가장자리와 농경지, 하천 주변 등 다양한 생육지에서 확산세가 확인되고 있다.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서양금혼초는 유럽 원산의 외래 식물로, 도로변과 초지, 빈 땅에서 쉽게 군락을 형성한다. 꽃은 노랗고 아름답지만, 문제는 토착 식물을 밀어내고 대규모 군락을 조성해 생물다양성을 떨어뜨린다는 점이다. 제주에서는 이미 일부 지역에서 넓게 확산되며 토착 식생을 위협하고 있다.


문의처: 한국생태연구소(주)
전  화: 070-5102-0507
이메일: kerc0607@gmail.com

#한국생태연구소 #KERC #남궁형박사 #생태계교란종 #환삼덩굴 #서양금혼초 #제주생태조사 #생물다양성 #생태보전 #지속가능성